(50) 선택된 소외

서론

  1. 한가지 질문을 드려보겠다. 예수님을 믿고 성령을 받아 우리가 흔히 말하는 “새 사람” 이 되었을 때에, 예전의 나의 행동이나 성격이 급격하게 달라지셨는가?
  2. 물론 저 같은 모태신앙자들은 또 다른 질문을 해야하겠지만, 보통 많은 경우에 급격하게 달라지지는 않는다. 혹은 달라진 듯 했으나, 다시 옛 모습을 회복하고는 한다.
  3.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아서, 밥을 다 먹으면 아이스크림을 주겠다 하고 밥을 먹였다. 그랬다고 해서 다음 번에 아이스크림 없이 밥을 스스로 잘 먹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4. 은혜를 그저 “받는 것”으로 정의하게 되면, 우리는 그 은혜가 없는 것처럼 느껴질 때에, 혹은 망각하게 될 때에, 아이처럼 다시 밥을 안 먹게 된다.
  5. 우리가 은혜를 “받은 것” 자체를 넘어, 그 은혜를 받은 “나” 를 돌아볼 때에, 우리는 비로소 그 은혜의 가치를 깨닫게 된다. 아이도 자라 만약 그 순간을 기억한다면 (기억 못하겠지만) 아이스크림에 감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무엇이길래 그렇게 까지 부모님이 밥을 먹이려 노력했는가에 감사하게 될 것이다. 
  6. 바울이 그랬다. 바울은 그 시대에 지성이고 유럽을 지배하던 로마의 시민이었다. 우리가 태어나서 자연히 시민권을 가지고 태어나니 느끼지 못하지만, 외국인으로 시민권을 따는 것은 그 어떤 자격증 시험보다 어렵다. 우리나라 시민권도 마찬가지다. 
  7. 그런 바울이 자신을 바꾸어 새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은혜 받을만한 사람이 아닌데 받았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울은 높은 자리에서 내려와 낮은 자로 살기를 선택할 수 있게된다.
  8. 오늘은 바울을 통해 낮아지는 삶에 대해 나누어 보고자 한다.

본론

로마시민 바울

  1. 로마제국 시데에 로마는 지중해를 둘러싼 모든 나라를 지배했다. 그 전체 인구 중에 70%가 노예였다가 예수님 시절에는 한 절반 수준까지 내려왔다고 한다. 
  2. 절반은 노예고, 나머지는 자유인인데, 자유인이라고 다 로마시민인가? 아니다. 로마시민의 지위는 극히 일부만 누리는 특권이고, 바울 당시에는 본문의 천부장처럼 큰 돈을 들여 로비를 통해 시민이 되거나, 
  3. 군복무를 몇십년 하거나, 로마군이 전쟁할 때에 도와 준다거나, 노예를 해방시켜주거나 할 때에, 예외적으로 주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4. 바울이 로마시민을 밝히자, 모든 결박이 풀어지고 대우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로마시민이다 라고 밝히는 것은 요즘으로 말하면 “내가 누군지 알어” 와 비등한 것이다.
  5. 바울은 그러나 이 막강한 시민권을 대놓고 활용하거나, 이용하지 않는다. 부당하게 묶여 쇠나 뼈가 달리 가죽 채찍에 맞을 정도 되니까 드러내 놓고 사용한다. 그것도 타 지방에서는 그 지방 신자들에게 해가될까 싶어 드러내지 않았다.
  6. 왜 바울이 돌에 맞고, 태형을 견디고, 두들겨 맞고 하는 것을 견뎠을까? 
  7. 그것은, 자신이, 기독교인들에게, 스데반에게 그렇게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이 견디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8. 자신이 괴수 중에 괴수고, 그런 죄를 용서 받았음이 바울이 그렇게 살 수 있게 해준 힘이다. 탕감 받은 것이 많은 자가 더 사랑한다 하셨다. 
  9. 우리가 탕감 받은 죄의 크기는 얼마인가? 
  10. 은혜 받을만한 자격 없는 “나”를 생각할 때에, 우리는 겸손하게 살아갈 수 있는줄로 믿는다. 

바리새인 바울

  1. 바울은 로마시민일 뿐만 아니라, 바리새인이었다. 바리새인들은 하나님과 율법에 대한 열심으로 민중의 선생을 자처했다. 존경 받고, 특히나 바울은 엘리트로써 유대인 사회의 중심에서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이었다.
  2. 본문에서 바울은 “나는 바리새인이다” 라고 고백을 한다. 바울은 예수님을 만나 기독교인이 되어서 이십년간을 전도하고도 여전히 스스로를 “바리새인”으로 분류했다.
  3. 바울에게 바리새인이라는 정체성은 하나님을 향한 열심 그 자체였다. 
  4. 그렇게 스스로 바리새인임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그것들을 누릴 수도 있는 바울이 그것을 누리지 않고 과감히 이방 땅에서 나그네로 살아가기를 자처할 수 있는 것은, 말씀드렸다시피, 은혜받은 “나”에 대한 깊은 성찰 때문이다. 
  5. 우리가 은혜를 누릴만한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시는가? 그런데 누리고 있다. 
  6. 우리의 신앙이 은혜를 “받는 것” 을 넘어 은혜받는 “나”에 대한 깊은 성찰이 될 수 있기를 축원한다. 

이방땅 나그네 바울

  1. 바울은 사회의 중심에서 철저히 벗어나 타지에서 20년간 완벽히 이방인으로 살아갔다. 
  2. 중국을 다녀온 청년도 있고, 이탈리아를 다녀온 청년도 있고, 미국을 다녀온 저도 있다. 이탈리아에서 살다온게 비록 2천년 지난 시점이지만 바울과 가장 비슷한 경험일 것 같기는 한데, 외국에서 살아간다는 것, 이방인으로서 살아간다는 것은, 나를 포기하는 것이다. 
  3. 내가 지금까지 인생에서 쌓아온, 인생에서 아주 중요한 것들, 인맥, 경험, 사회적 위치가 완전히 바닥으로 리셋되기 때문이다. 생각을 해보시라, 말도 못해, 행동도 이상해, 생긴 것도 이상해, 친구도 없어. 최악의 조건이다.
  4. 그러니까 자기 민족끼리 모여서 삼삼오오 도시의 변방에서만 어울리는 것이다. 요즘 군자동에 그런 외국인들 천지다. 볼 때 마다 저를 보는 것 같아 짠하다.
  5. 바울은 이 생활을 20년 했다. 그것도 한 곳에서가 아니라, 계속 옮겨가면서. 가는 곳마다 바울에 대한 반응이 달랐는데, 그 말 즉슨 가는 곳마다 문화와 사람들이 달랐다는 말이다.
  6. 로마시민권과 엘리트 바리새인이라는 사회적 지위를 내려놓고, 이방인을 자처하는 삶을 그가 살 수 있었던 것은,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 
  7. 은혜를 받은 자신이 그럴만한 가치가 없는 사람임을 알았기 때문이다. 
  8. 한량없는 은혜와 그 은혜를 받은 나를 항상 기억하는 신앙인들이 되시기를 축원한다.

결론

  1. 예수님은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하시지 않으시고, 하늘 보좌에서 마굿간으로 내려오신 겸손의 왕이시다.
  2. 바울은 노예가 50%가 넘던 로마제국에서 시민권의 특권을 누리거나, 한 나라의 종교지도자들의 자리에 서는 것을 마다한채, 나그네가 되어, 자신들의 민족들이 이방인이라고 부르는 그들과 함께 구르는 삶을 택했다. 
  3. 하나님이 왜 자신의 독생자 예수님을 보내시고, 바울을 부르셔서 그렇게 낮아지고 낮아지게 하셨는가? 바로 우리 때문이다. 낮고 낮은 우리를 만나 주시기 위해서 인줄로 믿는다
  4. 우리는 보통 소외 “받는다” 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오늘 저는 소외를 선택하시라 말씀드리고 싶다. 이 소외는 세상에서 나를 끊어내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소외된 곳으로 낮아지는 것을 말한다.
  5. 그런데 말이 쉽지, 올라가는 것 만큼이나 내려가는 것도 어렵다. 바울이 평생을 노력해서 엘리트 바리새인이되었는데, 그걸 버리고 소외된 곳으로 내려오기 위해서는 다멕섹에서의 주님과 만남 정도의 이벤트가 필요했다. 
  6. 우리에게도 그런 놀라운 다메섹의 이벤트가 있다. 그것은 바울의 고백처럼, 우리가 아직 죄인되었을 때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령을 우리에게 부어주심으로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확증하신 이벤트이다.
  7. 나의 죄인됨, 나의 연약함, 나의 은혜 받기에 가당치 않음을 생각할 때에, 우리는 낮아질 수 있고, 소외를 선택할 수 있는 줄로 믿는다.
  8. 성경은 가르친다. 고아, 과부, 나그네, 여성들, 동물들, 약자들을 살피며 보호하라 명한다. 그러나 우리는 때때로, 교회 안에서, 나의 삶 속에서, 높은 곳들에 눈을 맞추고 살아간다.
  9. 하나님은 낮은 자의 하나님이시다. 예수님과 바울의 삶을 따라, 거룩한 소외자의 삶을 선택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homearrow-downarrow-left